* 임상명칭 :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를 대상으로 뉴로나타-알주(자가골수유래중간엽줄기세포)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다기관, 위약대조, 평행 제3상 임상시험
* 대상질환 :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 임상단계 : 제 3상
* 승인기관 :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및 미국 식품의약국(FDA)
* 임상국가 : 한국
* 시험목적 : 본 임상시험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환자를 대상으로 뉴로나타-알주 또는 위약을 투여한 후 뉴로나타-알주 적용군이 위약 적용군에 비하여 임상적으로 우월함을 입증하기 위함이다.
1. 1차 목적
1)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를 대상으로 투여 시점으로부터 12개월 시점에서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MFDS, FDA)
2)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를 대상으로 투여 시점으로부터 6개월 시점에서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1과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MFDS)
2. 2차 목적
1) 투여시점으로부터 12개월 시점과 6개월 시점에 ALSFRS-R 점수, Time to first event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투여시점으로부터 6개월 시점에서 Joint rank score (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으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투여 시점으로부터 12개월 시점과 6개월 시점에 SVC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유효성 비교 (FDA)
2) 투여시점으로부터 6개월 시점에서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투여 시점으로부터 12개월 시점과 6개월 시점에 평가되는 ALSFRS-R 점수, Time to first event로 평가되는 시험군과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MFDS)
3. 탐색적 목적
- FDA 제출의 경우
1) 시험군 2를 대상으로 투여시점으로부터 12개월 시점의 HHD 변화량, EQ-5D-5L 변화량, ALSAQ-40 변화량, Time to death 확인
2) Main Study 이후 진행되는 시험군 2에서의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의 탐색적 확인 (폐기능검사(SVC), 근력검사(HHD), Time to first event, Time to death, EQ-5D-5L, ALSAQ-40, 이상사례, 실험실적 검사 등의 평가)
3) 시험군 2를 대상으로 싸이토카인 및/또는 기타 예측 표지자 수치에 의한 생물학적 표지자 측정을 통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에서 뉴로나타-알주 투여시 지표로 작용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에 대한 평가
- MFDS 제출의 경우
1) 시험군 1과 2를 대상으로 투여 시점으로부터 6개월, 12개월 시점의 폐기능 검사(SVC) 변화량, HHD 변화량, EQ-5D-5L 변화량, ALSAQ-40 변화량, Time to death 확인
2) Main Study 이후 진행되는 시험군 1과 2의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의 탐색적 확인 (폐기능검사(SVC), 근력검사(HHD), Time to first event, Time to death, EQ-5D-5L, ALSAQ-40, 이상사례, 실험실적 검사 등의 평가)
3) 시험군 1과 2를 대상으로 싸이토카인 및/또는 기타 예측 표지자 수치에 의한 생물학적 표지자 측정을 통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에서 뉴로나타-알주 투여시 지표로 작용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에 대한 평가
* 임상방법 : 1. 시험 대상자 수: 126명(실제 등록인원)
2. 단계 및 디자인:
- Main Study: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다기관, 위약대조, 평행 제3상 임상시험
- Observational Study: 다기관, 제3상 임상시험 후 관찰연구
3. 용법/용량 및 투여방법
- 시험약: 체중 1 kg당 0.1 mL (1.0x106 세포)를 뇌척수강 내로 투여
- 대조약: 체중 1 kg당 0.1 mL를 뇌척수강 내로 투여
- 병용약: 허가사항에 따라 복용(매 12시간 간격으로 50 mg씩 최소한 식사 1시간 전 또는 2시간 이후 복용)
4. 투여기간
(1) 시험약 및 대조약:
- 시험군 1: 26일 간격으로 2회 시험약 투여 후, 3개월 간격으로 3회 대조약 투여/이후 26일 간격으로 2회 대조약 투여
- 시험군 2: 26일 간격으로 2회 시험약 투여 후, 3개월 간격으로 3회 시험약 투여/이후 26일 간격으로 2회 대조약 투여
(2) 대조군 : 26일 간격으로 2회 대조약 투여 후, 3개월 간격으로 3회 대조약 투여/이후 26일 간격으로 2회 시험약 투여
(3) 병용약 : 14개월(전문가의 의학적 판단에 따라 이상사례로 인해 리루졸 투여가 불가한 대상자가 아닌 경우, 모든 투여군에서 리루졸을 병용약으로 복용)
5. 추적 관찰 기간
첫 투약 후 36개월까지
6. 1차 유효성 평가변수
(1)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를 대상으로 투여 시점으로부터 12개월 시점에서의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MFDS, FDA)
(2)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환자를 대상으로 투여 시점으로부터 6개월 시점에서의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1과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MFDS)
7. 2차 유효성 평가변수
(1) FDA 제출의 경우
- 12개월 시점에서의 ALSFRS-R 변화량(시험군 2와 대조군)
- 12개월 시점에서의 Time to first event(시험군 2와 대조군)
- 투여 시점으로부터 6개월 시점에서의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 6개월 시점에서의 ALSFRS-R 변화량(시험군 2와 대조군)
- 6개월 시점에서의 Time to first event(시험군 2와 대조군)
- 12개월 시점에서의 SVC 변화량(시험군 2와 대조군)
- 6개월 시점에서의 SVC 변화량(시험군 2와 대조군)
(2) MFDS 제출의 경우
- 투여 시점으로부터 6개월 시점에서의 Joint rank score(기능 및 생존 기간에 대한 통합분석)로 평가되는 시험군 2와 대조군의 치료적 유효성 비교
- 12개월 시점에서의 ALSFRS-R 변화량(시험군 2와 대조군)
- 6개월 시점에서의 ALSFRS-R 변화량(시험군 1과 대조군)
- 12개월 시점에서의 Time to first event(시험군 2와 대조군)
- 6개월 시점에서의 Time to first event(시험군 1과 대조군)
8. Observational Study
- FDA 제출의 경우 시험군 2와 대조군에 대해서, MFDS 제출의 경우 시험군 1과 시험군 2, 대조군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평가를 진행한다
- 36개월 시점에서의 SVC, HHD 변화량
- 36개월 시점에서의 Time to first event, Time to death
- 36개월 시점의 EQ-5D-5L 및 ALSAQ-40의 변화량
9. 안전성 평가: 이상사례, 실험실적 검사(혈액학적/혈액화학적 검사, 소변검사), 신체검진 및 활력징후, 체중, 심전도/X-ray 검사 결과
* 임상결과
본 연구의 1차 유효성 평가에 대해서 평가변수는 ITT 군을 주 분석군으로 함.
- 12개월 시점에서 시험군 2와 대조군간 CAFS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아,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함. 시험군 2에서와 대조군에서의 CAFS Rank Score의 LS 평균값 차이 [95% CI]는 -8.75 [-19.73 ~ 2.23], 였으며 p-value = 0.11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6개월 시점에서 시험군 1과 대조군간 CAFS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아,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함. 시험군 1에서와 대조군에서의 CAFS Rank Score의 LS 평균값 차이 [95% CI]는 -3.89 [-11.87 ~ 4.08], 였으며 p-value = 0.3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 2.주요 내용 중 7)신청일, 8)승인일은 FDA 기준입니다.
- 4.상기 사실발생(확인)일은 당사가 임상수탁기관(CRO)으로부터 임상시험 결과 Topline data를 전달받은 날짜입니다.
- 본 공시 내용은 당사의 IR자료, 보도자료, 학회 발표 자료 등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